반응형 SMALL 퍼포먼스마케팅4 스타트업 퍼포먼스마케터가 말하는 퍼포먼스마케팅 4편 - 메타(페이스북, 인스타그램) 메타를 시작으로 구글, 네이버, 카카오 등 주요매체에 대한 소개 및 설명을 써볼려 했는데 막상 시작하려니 이것저것 준비할 게 많아 4편이 나오기 까진 꽤 오래 걸렸다. 이번 글에선 꼭 퍼포먼스 파트가 아니라도 마케팅 팀이라면 무조건 한 번씩 접하는 메타 (페이스북, 인스타그램)에 대해 소개해보려 한다. 메타 광고? 도대체 뭐야?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피드를 내리다보면 내가 팔로우하지 않았는데 뜨는 콘텐츠들이 있다. 이미지 / 영상 / 릴스(인스타그램) 등등 종류도 많고 내가 요즘 관심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해줘서 당황한 적이 있을 거다. 메타는 광고가 굉장히 활성화 되어있다. 마케터 입장에선 적은 비용 (하루 5,000원도 가능)으로도 광고를 할 수 있고 소비자 입장에선 내가 요즘 관심있는 제품이 .. 2024. 10. 1. 스타트업 퍼포먼스마케터가 말하는 퍼포먼스마케팅 3편 - DA/SA 퍼포먼스마케터의 기본 역량 중 하나는 광고 매체 운영이다. 광고 매체를 직접 운영할 줄 아는 게 생각보다 큰 능력이고, 잘 운영하면 일하기가 좀 수월하다. 그래서 이번엔 퍼포먼스마케터가 국내에서 직접 운영하는 매체가 어떤 건지 간단히 소개해보려 한다. 광고 매체 분류 우선 광고매체는 크게 DA / SA, 2가지로 분류된다. DA (Display Ads) - 이미지(디스플레이) 광고 SA (Search Ads) - 검색 광고 요즘엔 유튜브나 틱톡 등 영상매체가 커지면서 DA와 VA(Video Ads)를 분류하기도 하는데 기본적으로 이미지&영상은 DA로 통칭한다. (회사/팀/마케터마다 다르긴 하다) 이미지와 검색 광고를 분류하는 이유는 운영 방식과 기본적인 목표가 다르기 때문이다. 타겟을 기준으로 보면 DA.. 2024. 1. 18. 스타트업 퍼포먼스마케터가 말하는 퍼포먼스마케팅 2편 - 용어 설명 회의를 하다보면 마케팅 관련 용어에서 막히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았다. CTR은 물론이고, 노출의 개념까지 설명한 적이 많아 매번 용어집(?)을 정리해서 공유하곤 했었다. 최대한 영어로는 표현을 안하려고 노력하지만 (예를 들면 CTR → 클릭률) 회의를 하다보면 자연스레 영어 표현이 나온 적이 많아 아예 이번에 자주쓰는 용어들만 뜻 & 개념을 정리해보려 한다. CTR이나 CPC의 개념을 설명하기 전에 기본 개념부터 설명하려 한다. 노출 : 광고소재가 사용자에게 보여진 횟수 (몇 회 → 중복 가능) 도달 : 광고소재를 본 사용자의 수 (몇 명) 빈도 : 광고가 한 사용자 (혹은 한 IP)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횟수 (노출/도달) 생각보다 헷갈리는 개념이다. 노출이 도달보다 많다는 내용을 외우고 보면 더 편하다.. 2024. 1. 4. 스타트업 퍼포먼스마케터가 말하는 퍼포먼스마케팅 1편 매 회사를 퇴사할 때마다 가장 많이 들었던 얘기는 '매체 어떻게 세팅하는 지 알려주고 가요' 였다. 꽤 많은 사람들이 참관하는(?) PT같은 회의를 거치고 나면 아, 퇴사하는구나. 실감하게 될 정도로 거의 매번 내 지식을 전수하는 회의를 해야 했다. 다행히도 매번 퇴사 직전 회의를 거칠 때마다 내 자료는 업그레이드되었고, 나도 꽤 성장했다. 지금부터 몇 편이 될진 모르지만 내가 지금까지 했던 퍼포먼스마케팅에 관련된 얘기를 해볼까 한다. 6년 차 이상이거나, 팀장님이거나, 연매출이 몇 백억 이상인 중견기업 이상에 재직하는 분들은 이 글을 볼 필요가 없다. 내가 초점을 맞추고 싶은 곳은 마케팅을 오래 해보지 않은 스타트업 마케터, 팀장없이 혼자서 혹은 둘이서 고군분투하는 많은 마케터들이다. 제일 먼저 퍼포먼.. 2024. 1. 3. 이전 1 다음 반응형 LIST